반응형


차를 타고 가다 우연히 

조용필의 '못 찾겠다 꾀꼬리'라는 노래를 들었다.

예전 노래이고, 그냥 가사가 동요같다는 생각만 가지고 

비트를 느끼며 고개를 까딱까딱하고 있는데


오마나!

어머, 얘 좀 봐?


가사가 신나는 비트와 상반되게 슬픈 것이다.

노래는 또 왜이렇게 잘하시는 건지...

'얘들아, 얘들아' 하는 부분에 이르자

갑자기 뭔가 울컥하면서

눈물이 찔끔 날 뻔했다.

뻔했지만 운 것은 아니다.

ㅠㅠ


어릴 적 숨바꼭질 할 때

날은 어두워졌는데

친구들을 찾지 못해

무서워서 울어버린 기억도 나고,


이를 비유하여

어릴 적 꿈들이 숨어버려

지금 찾을 수 없다고 말하는 가사도 확 와 닿았다.


꿈을 찾지 못하는 영원한 술래.


캬아, 어찌 이런 가사가...



못 찾겠다 꾀꼬리


작사 김순곤

작곡 조용필

편곡 이상준 ,차길완


못찾겠다 꾀꼬리

못찾겠다 꾀꼬리

 

어두워져 가는 골목에 서면

어린 시절 술래잡기 생각이 날꺼야

 

모두 숨어버려 서성거리다

무서운 생각에 나는 그만 울어버렸지

 

못찾겠다 꾀꼬리 꾀꼬리 꾀꼬리

나는야 오늘도 술래 (×2)

 

하나 둘 아이들은 돌아가 버리고

교회당 지붕위로 저 달이 떠올 때

 

까맣게 키가 큰 전봇대에 기대 앉아

(얘들아 얘들아) 얘들아 얘들아

 

엄마가 부르기를 기다렸는데

강아지만 멍멍 난 그만 울어버렸지

 

그 많던 어린 날의 꿈이 숨어버려

잃어버린 꿈을 찾아 헤매는 술래야

 

이제는 커다란 어른이 되어

눈을 감고 세어보니

 

지금은 내 나이는

찾을 때도 됐는데 보일 때도 됐는데

 

(얘들아 얘들아) 얘들아 얘들아

 

못찾겠다 꾀꼬리 꾀꼬리 꾀꼬리

나는야 오늘도 술래 (×2)


 


이 노래는 가왕 조용필님이 1982년 발표한 

정규음반 4집 첫 번째 트랙에 있는 곡이다.


당시 KBS 가요톱텐 8월 셋째 주~11월 첫째 주까지 

무려 10주 연속 1위에 오른 곡으로

초울트라 메가 히트곡이다.


사랑노래도 아니고,

이별노래도 아닌데

이렇게 초히트를 할 수 있다니...


가왕 조용필님의 인기와 능력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어떻게 이런 명곡이 탄생하게 되었을까?



노래 '못 찾겠다 꾀꼬리'에 대하여


이 노래는

1980년대 초반 방황하던 조용필이 

경봉스님을 만난 것이 계기가 되어 탄생했다고 한다.


경봉스님 :

 “뭐하는 놈인고?” 


조용필 :

“가수입니다.” 


경봉스님 :

“그러면 네가 꾀꼬리구나. 

무슨 말인지 아느냐?”


조용필 : 

“모르겠습니다.” 


경봉스님 :

“그걸 찾아보이라.”


꾀꼬리는 흔히 노래 잘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니

'가수'한테 할 수 있는 말인데

찾아보라고 한 걸 보면 

가수로서의 정체성을 다시 생각해보라는 말이 아니었을까 싶다.



이 노래에 대해 조용필 본인은 이렇게 말했다고 전해진다.



 "못 찾겠다 꾀꼬리고추잠자리와 함께 동심을 표현한 노래다

고추잠자리를 발표한 지 1년 만에 내놓았다

고추잠자리를 작사했던 김순곤씨가 또 가사를 썼다.

 

이 노래는 고추잠자리와 정서는 비슷하지만, 템포는 전혀 다르다

강한 비트를 넣어 록의 느낌을 강하게 했다

새로운 리듬을 만들어보자는 데 중점을 뒀다

얘들아~” 대목의 화음이라든지

당시 국내에는 없던 음악을 만들어보자는 뜻이었다

록에 국악을 접목한 자존심을 만든 것처럼

새로운 시도로 가요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생각하던 때였다.

 

가사적으로는 동요와 접목을 시도했다

난 아니야도 그런 경우인데, 두 노래 모두 4(1982)에 수록됐다

무등타기·술래잡기 등은 나 개인의 추억일 뿐 아니라 중장년층의 추억이기도 하다

동요는 성인이 되면 잊어버린다

이 때문에 어른이 돼서도 부를 수 있는 동요적인 가요를 만들고 싶었다

노래를 부르며 순수했던 동심으로 돌아갈 수 있는 노래 말이다."



누구에게나 어린 시절은 있지만

그 시간은 짧고 지나가면 추억일 뿐

그 시절 불렀던 동요를 어른이 되어서는 부르지 않는다.


하지만

동요적인 가요가 있다면

어른들도 마음놓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노래를 부르며 가사에 담긴

순수했던 동심으로 돌아갈 수 있다.


위에 나온 스님과의 대화를 통해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인지 어떤지 모르지만

당시 조용필은 어른이 부를 수 있는 동요적인 가요를 생각했고

이는 어른뿐만 아니라 어린이에게도 강하게 어필하여

전국민이 따라 부르는 노래가 되었다.


폭발적인 인기로 가요 프로그램의 1위를 제한하는 계기가 되었고

제목 자체인 '못 찾겠다 꾀꼬리'가 유행하기도 했다고 한다.


지금까지도 다른 가수들에 의해 불려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1년 나는 가수다에서 김경호가

2014년 불후의 명곡에서 손승연이

2017년 노래싸움 승부에서 김종서와 남상일이


이 노래를 다시 불렀다.


음악평론가 김종휘씨는

이 노래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못 찾겠다 꾀꼬리가 특별했던 것은 

이 노래가 원래는 응원가나 데모송이기라도 했던 것처럼

고래고래 온몸을 쥐어짜 토해내듯 처음부터 '떼창'으로 내달렸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이면 가슴 밑바닥에 슬픔이 고였다."


그러니까 원래 응원가도 아니고 데모송도 아닌데

자연스럽게 처음부터 다같이 부르게 되고

그렇게 노래가 끝나고 나면

뭔지 모를 슬픈 감정이 생겼다는 말이다.


정말 그렇다.


이 쯤에서 원곡을 들어보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왜 하필 꾀꼬리일까?


경봉스님이 언급한 대목도 그렇고,

전통놀이에서 숨바꼭질 놀이방법에도

술래가 숨은 친구를 못 찾았을 때


'못 찾겠다 꾀꼬리'


하는 이유는 뭘까?


그래서 꾀꼬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꾀꼬리

(Black naped Oriole)


분포

세계적으로 27종 분포


서식

유라시아 대륙에 서식

(미국의 꾀꼬리는 이름만 같을 뿐 다른 종) 

우리나라에는 1종 서식, 대표적인 여름 철새

4월 말부터 찾아와 겨울에 떠남

(월동지는 인도차이나 반도, 인도, 싱가포르, 중국 남부)


크기

약 25cm


색깔

대부분 노란색

(수컷이 암컷보다 더 선명한 노란색)

부리는 분홍색

날개 끝과 꼬리는 검은색

눈을 지나는 검은색 눈선이 있음

(수컷이 암컷보다 굵음)


생활

암수 같이 생활

전국의 산림지대

도시 내 공원

대학 캠퍼스 등


번식

5~7월

흰 바탕에 적갈색 무늬가 있는 알 4개 정도 낳음


먹이

봄 여름 : 곤충의 유충

가을 : 버찌, 산딸기, 산머루 등 나무열매




김현수 선수가 뛰었던 메이저리그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오리올스가 꾀꼬리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보는 꾀꼬리와는 

종이 다른 꾀꼬리로 볼티모어가 속해있는

메릴랜드 주의 상징이 오리올스이기 때문에

볼티모어 오리올스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어쩐지 조금 다르게 생겼다.



'못 찾겠다 꾀꼬리'가 나온 배경


꾀꼬리는 실제로 맑고 예쁜 소리를 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둥지를 지킬 때에는

'꽥꽥'하고 괴성에 가까운 소리를 내기도 한다고 한다.

그만큼 꾀꼬리가 내는 소리가 다양하다.


조선후기 학자 이만영이 지은 <재물보(才物譜)>와 

유희라는 사람이 쓴 <물명고(物名攷)>에 따르면

꾀꼬리에게 32가지의 소리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나뭇가지 사이에 마른 풀 등을 엮어 바구니 모양으로 

둥지를 매달듯 짓는 습성이 있는데

20~30미터 되는 높은 곳에 짓기 때문에

찾기가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꾀꼬리의 소리를 들은 사람들은

보고싶어 여기저기 둘러보지만

높은 곳에 둥지를 틀고 있는 꾀꼬리를 보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기 때문에


'못 찾겠다 꾀꼬리'


라는 말이 나왔을 거라고 추측한다.


게다가

혹시 둥지를 찾았다고 하더라도

안을 보는 일은 쉽지 않다고 한다.


꾀꼬리는 아름다운 소리와 달리 온순하지 않아서

 둥지 주위에 적이 나타나면

표독스럽게 울고 

폭격기처럼 빠른 속도로 날아와 내리꽂는다고 한다.


그래서

"꾀꼬리 둥지를 보려면 헬멧을 착용해야 한다." 

는 말이 있을 정도라니

다시 보게 된다.


그런가 하면

 꾀꼬리는

다른 새들이 

어느 정도까지만

(영양분이 남아있을 때까지)

새끼들의 배설물을 먹는 것과는 달리

천적으로부터

새끼들을 보호하기 위해

영양분이 하나도 없는 

 새끼들의 배설물을 오랫동안 먹는다고 한다.



노래도 잘 하고

싸움도 잘 하고

새끼도 잘 키우는 


꾀꼬리!


너무 멋진 거 아니야?


가왕 조용필님의 가사에 들어갈 자격이 충분하구나!





이 노래를 다시 들으며 드는 생각 하나!


혹시 꿈을 잃어버렸는가?

못 찾겠다 꾀꼬리라고 말하고 싶은가?


꾀꼬리는 사라지지 않았다.


우리 마음 속 어딘가에 숨어 있을 뿐

반드시 만날 수 있다.


우리가 애타게 찾고 부르면

받드시 만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오늘도 내일도

영원한 술래가 아니다.









<참고>

[DAUM 곡정보] 못 찾겠다 꾀꼬리(조용필)

[불교신문] 30. 경봉정석

[중앙일보] me '못 찾겠다', 어린 추억... 슬픈 '도돌이표'

[한국콘텐츠진흥원] 전통놀이 '숨바꼭질'

[chosun.com] <한국의 산새> 꾀꼬리 - '봄의 환희'를 상징하는 여름 철새

[자연을 거닐다] 꾀꼬리는 무엇을 먹으며 새끼들을 키워내는가

[두산백과] 꾀꼬리

[위키백과] 꾀꼬리



반응형